03

연재 / 나무의사 제도의 발전 방향

이승제 / 신구대학교 교수

1. 나무의사제도의 정의(출처: 산림청 공식 YouTube)
1) 나무의사제도란?
  • 발생이나 생육부진 등으로 비정상적인 생장시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맞는 효과적인 처방 및 조치를 시행
2) 법적근거
· 산림보호법 제2조(정의)
구분 정의 비고
수목진료 -수목의 피해를 진단·처방하고,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모든 활동
나무의사 -수목진료를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나무의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
수목치료기술자 -나무의사의 진단·처방에 따라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는 사람으로 수목 치료기술자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
나무병원 -수목진료 사업을 하려는 자로서 등록증을 발급받은 자
(출처: 산림청 공식 YouTube)
2. 나무의사가 되는 법
1) 자격요건
  • ‘나무의사 양성기관’에서 일정 기간(약 150시간) 교육 이수 후, 자격 시험 합격한 자
  • 자격요건 : 수목진료학과 졸업,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 및 국가 기술자격 취득자 등
2) 시험유형 및 과목
구분 유형 시험과목
1차시험 필기시험 1. 수목병리학
2. 수목해충학
3. 산림토양학
4. 수목관리학(가~다 포함)
가. 비생물적피해(기상 · 산불 · 대기 오염 등에 의한 피해)
나. 농약관리
다. 「산림보호법」 등 관계 법령
2차시험 서술형 필기시험 수목 피해진단 및 처방
실기시험 수목·병충해 분류, 약제처리, 외과수술
3. 나무의사 양성기관
양성기관 주소 전화번호
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, 서울대학교 203동 301호 02-880-4697
(사)한국수목보호협회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211, 광노빌딩 4층 02-967-5048
신구대학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적푸리로 9, 신구대학교 식물원 031-724-1622
경상대학교 수목진단센터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, 경상대학교 459동 302호 055-772-1838
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, 703호(글로벌프라자) 053-950-5746
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, 전남대학교 GnR Hub 3~4층 062-530-2080
충남대학교 수목진단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,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042-821-7880
강원대학교 수목진단센터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1,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1호관 002호 033-250-7225
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 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목원길 51,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043-220-6172
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, 전북대학교 본부별관 3층 063-219-5238
4. 나무의사의 필요성
1) 수목 생육장애
  • 부적기 식재, 심식, 포장(비좁은 생육환경) 등 생육환경 열악|
  • 복합적인 요인(토양, 기후, 오염물질 등)으로 인한 가시적인 피해 발생
  • 토양배수불량
  • 심식
  • 약해
2) 병충해 발생증가
  • 병해충 피해에 대한 인식 부족
  • 병해충의 발생적기에 조치가 미흡
  • 돌발성해충(외래종)의 발생 빈도 매년 증가
3) 유지관리의 중요성 인식부족
  • 잘못된 전정, 복토, 약해, 제설제 피해 등의 빈번한 발생
  • 정확한 진단 없이 원인을 모르는 상황에서 표면적 시행
  • 종합적인 유지관리 계획의 부재
갈색날개 선녀벌레
잘못된 전정으로 인한 피해


4) 위험목 진단 필요
  • 가로수 도복 피해(인명, 재산 피해)
가로수사고 예방 진단장비 도입
가로수 도복(인명, 재산 피해)
5. 나무의사의 역할
  • 1.올바른 수목관리
  • 2. 이상기온, 미세먼지 완화등의 효과
  • 3. 인간의 복지, 건강, 복리증진
6. 나무의사의 전망
1) 관리대상인 수목 및 녹지의 증가
  • 녹지 공간 조성의 의무화로 수목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
  • 대단위 택지지구 조성이 증가하고 지자체 등에서도 녹지공간의 조성이 증가하고 있음
  • 추후 녹지 조성이 계속 증가되는 추세
  • 여의도만을 보았을 때 KBS, IFC몰, 금융감독원, LG트윈타워, 성모병원, 순복음교회 등 나무가 심겨져 관리를 해야 할 곳이 다수 존재하며 앞으로 이런 곳의 진단의 치료가 모두 나무병원, 나무의사 만이 할 수 있음
2) 나무병원의 역할 확장
  • 도심의 건강한 숲 관리에 관심 증가
  • 나무의사 만이 수목진료를 시행하고 처방할 수 있고 그 처방에 따라 치료를 시행하여야 하고 전문적인 관리 인원 필요
  • 나무의사 제도 및 나무의사를 보유하고 있는 나무병원에 대한 관심 증가
  •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녹지관리 분야 전문인력 양성 효과 기대
  • 나무의사로서 희망과 업무에 대한 자부심을 동시에 가질 수 있음
  • 추후 사회적, 생태적으로 전문적 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역할이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
top